< 네트워크란 ? >
연결하는것
LAN (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사무실, 강의실 내)
- 초기 비용이 높지만, 유지보수 비용 낮음
- 네트워크 관리자가 관리를 담당
- 스위치, 허브 등의 장비
WAN (Wide Area Network)
- 원거리 (미국 - 한국)
- 원거리에서 LAN-LAN
- 초기비용은 낮으나, 지속적 유지비 발생
- Internet Service Provider 가 관리를 담당 (kt)
- Router
인터넷
- 전세계 LAN과 WAN이 함께 연결된 거대한 네트워크
- 통신방식
유니케스트
: 서버와 클라이언트간 1:1 통신
브로드 캐스트
: 1 서버 다수의 클라이언트
멀티 캐스트
: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특정 그룹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
< IP 주소 (논리적 주소) 변경가능 4바이트>
IPv4 주소 : 주로 이걸 씀
IPv6 차세대 ip 주소
물리적 주소 vs 논리적 주소
서브넷마스크 - 2진법
네트워크주소 호스트주소
사설 IP 대역대 :
- Class A 규모 : 10.0.0.0 ~ 10.255.255.255 (10.0.0.0/8)
- Class B 규모 : 172.16.0.0 ~ 172.31.255.255 (172.16.0.0/12)
- Class C 규모 : 192.168.0.0 ~ 192.168.255.255 (192.168.0.0/16)
공인 ip 대역대 : 인터넷 공인망에서는 ip 대역
사설 ip 대역대 : 사설망 내부에서 쓰는 ip 대역
공인 ip와 사설ip를 전환하여 인터넷을 가능케 하는 기술 -> NAT

게이트웨이 :
- 네트워크의 출입문
- 다른 네트워크라면 게이트웨이 주소로 보내야함
< MAC주소 (물리적 주소) : 장치 고유의 주소 >
ex) 00-05-C5-F0-53-FE (6바이트)
- 근거리 통신할때는 무조건 MAC주소로 통신 함
- 기계는 mac 주소를 알아야 통신가능
- 사람은 ip 주소를 알아야 통신가능
ip 주소를 이용해서 mac 을 알아오는 프로토콜 : arp <-> rarp
-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해선 mac 주소를 알아야함
- 원거리 통신을 하기 위해선 ip 주소를 알아야함
< DNS : Domain Name Service >
naver.com = 223.130.195.200
인터넷 주소창에 223.130.195.200 넣으면 네이버로 감
< terminal / cmd >
nslookup 로 dns 확인가능
nslookup naver.com
netstat -a : 사용중인 포트 정보
nslookup : dns 서버 정보
arp -a : arp 캐시 보는 명령어 / arp 테이블
Ctrl + c: 강제종료 (작업하던거 날라감)
C + d : 정상종료
C + z : 일시정지 (가끔 일부명령어로 사용)
Hostname : 네트워크상에서 내컴터 이름
tracert / netstat -r (중요) 라우팅 정보를 알려줌 / 네트워크 경로를 확인 경유지들의 ip를 확인 가능

<DHCP service>
우리 컴퓨터의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서비스
포트 통신 프로토콜 : TCP / UDP
TCP : 신뢰성있는 통신이 필요 / 상대방과 세션을 연결
UDP : 간단한 통신이나 빠른 대용량 통신 (동영상 재생) DNS, DHCP / 세션은 맺질 않음
라우팅테이블 : 통신하기위해선 목적지로 갈수 있는 경로가 적혀있어야 한다.
-> 네트워크 엔지니어, 인프라 엔지니어의 역할
매트릭 : 우선순위 윈도우 매트릭 높을수록 우선높은우선
'Network > [I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T] 스마트스테이션 LED 등 및 충전소음 제거 (0) | 2025.01.24 |
---|---|
맥북에서 IP주소 확인 및 게이트웨이 (2) | 2023.12.05 |
[IOT] "Siri" 대신 "ChatGPT" 호출하기 (0) | 2023.03.05 |
[Network] IP주소 클래스(A,B,C class)란? (0) | 2022.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