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시스템의 부팅 과정

 

바이오스 단계

  • PC의 전원 스위치를 켜서 부팅하면 제일 먼저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가 동작
  • 바이오스는 PC에 장착된 기본적인 하드웨어(키보드, 디스크 등)의 상태를 확인한 후 부팅 장치를 선택하여 부팅 디스크의 첫 섹터에서 512바이트를 로딩
  • 이 512바이트가 마스터 부트 레코드(master boot record, MBR): 2차 부팅 프로그램(부트 로더)의 위치 저장

 

 

< systemd 서비스 >

init 프로세스와 런레벨 (중요)

 

  • init 프로세스에서 사용하던 런레벨(Run Level)의 개념에 대한 이해 필요
  • init는 시스템의 단계를 일곱 개로 정의하여 구분하고 각 단계에 따라 셸 스크립트를 실행하는데, 이 단계들을 런레벨이라고 함

 

systemd 유닛 (데몬 = 서비스)

  •  systemd는 전체 시스템을 시작하고 관리하는 데 유닛(units)이라 부르는 구성 요소를 사용
  •  systemd는 관리 대상의 이름을 ‘서비스 이름.유닛 종류’의 형태로 관리 
  •  각 유닛은 같은 이름과 종류로 구성된 설정 파일과 동일한 이름을 사용

 

systemd의 기본 개념

systemd는 Centos7부터 본격적으로 기존의init 스크립트를 대체하기 시작

거의 대부분의 서비스가systemd기반 변경

systemd는 init 방식에 비해 가진 장점

  • •소켓 기반으로 동작하여inetd 와 호환성을 유지한다.
  • •셸과 독립적으로 부팅이 가능하다.
  • •마운트 제어가 가능하다.
  • •fsck 제어가 가능하다.
  • •시스템 상태에 대한 스냅숏을 유지한다.
  • •SELinux와 통합이 가능하다.
  • •서비스에 시그널을 전달할 수 있다.
  • •셧다운 전에 사용자 세션의 안전한 종료가 가능하다.

맥북의 경우

https://devlog.jwgo.kr/2019/07/03/how-do-i-check-if-a-service-is-running-in-mac/

 

 

 

'P-Languag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프로세스의 개념  (0) 2022.12.01
[Linux] 특수 접근 권한  (0) 2022.12.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