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목표]
Cloud Computing 개념
서비스와 마이크로 서비스의 개념과 차이점
IaaS, PaaS, Saas 특징

초록색이 많을 수 록 돈이 많이 듬 -> 그래서 최대한 돈을 아낄려고 하이브리드 형태로 사용
# On-Premises / (레거시) 물리적 - 가상화 안됨
- 규모가 있는 기업에서 사용하는 방식
- 자체적으로 데이터센터와 서버실 구축하여 운영
# 퍼블릭 클라우드 (AWS) / 클라우드 (가상화)
- 초기투자 필요없음
- 인터넷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돈주고 빌려줌
# 프라이빗 클라우드
-특정 대상을 지정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 단일 기업, 계열사 등에만 지원
AWS와 같은 Cloud Service Provider 업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 유형을 제공함
#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Server, OS, Network, Storage 등을 제공
- 필요로 하는 자원의 규모와 성능 등에 의해 비용 발생
# PaaS
- Platform as a Service
- 소프트웨어 개발 및 운영 환경을 제공
- 인프라에 대한 관리 부담을 질여 개발에 집중하도록 함
# SaaS
- Software as a Service
- 클라우드 벤더가 제공하는 시스템 및 스프트웨어를 직접 사용 (한컴 독스)
- 인프라, 소프트웨어 구축 시간이 없거나 매우 짧음
클라우드 서비스가 좋은 이유
# 초기 투자 없음
장비를 빌려쓰기 때문에 장비 구매, 설치 불 필요
# 트래픽 변동이 가능
요구량에 조절이 가능해서 트래픽 예측이 힘들때 좋음
# 복구가 빠름
무 중단 또는 재해 복구가 빠름
이중화, 백업 구성이 가능
# 빅데이터 처리에 유용
많은 데이터를 직접 가지고 있을 필요없음
# 웹/모바일앱 등 백엔드로 이용가능
백엔드를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구축가능

서비스란 결국 웹, 어플리케이션, 디비 서버를 연결해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걸 의미함
[Micro Service?]

쉽게 말해 점점 작게 세분화
-
클라우드 컴퓨팅이 뭐냐?
: 어떤 서비스를 해준다? -> 클라우드다

IT service 보다는 Product 라는 말이 맞음
-> 하나의 제품으로 보는게 맞다 : 제품은 어떤 목적성을 띔, 필요한 니즈를 채움
Engineering?
일정 생산 목적에 따라 유기적인 체계로 구성하는 활동 -> 클라우드 제품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
Technology?
way of saving cost or creating product -> 기술과 이윤!
----------------------------------------------------------------------------------------------------------------------


[클라우드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아키텍처의 새로운 패러다임
소수의 컴퓨팅 자원을 다수의 컴퓨팅 자원처럼 사용
사용자 중심의 아키텍처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는 그리드 컴퓨팅 기반(유틸리티 컴퓨팅과의 차이점)
[그리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아키텍처의 하나
다수의 컴퓨팅 자원을 하나의 컴퓨팅 자원처럼 사용
컴퓨팅 중심의 아키텍처
분산 파일 시스템/ 스토리지는 오히려 그리드 컴퓨팅 아키텍처
그리드 컴퓨팅 아키텔처는 서비스 아키텍처가 아님
표준화에 실패 -> 클라우드 컴퓨팅에 뺏김

-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는 열어보면 이렇게 다양한 분산 시스템을 필요로 함 (내부에 있음)
아키텍처 | 개념 | 클라우드 컴퓨팅과의 비교 |
Grid Computing | 많은 IT 자원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위해 인터넷 상의 분산된 다양한 자원을 공유해 가상의 슈퍼컴퓨터처럼 활용하는 방식 | 그리드 컴퓨팅이 인터넷 상의 모든 컴퓨팅 자원을 통합해 사용하는데 반해,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사유 서버 네트워크를 빌려서 활용 |
Utility Computing |
서버, 스토리지 등 컴퓨팅 자원을 보유하지 않은 채 가스나 전기처럼 사용량에 따라 과금되는 방식 | 클라우드 컴퓨팅의 과금 방식과 동일 |
SBC : Server Based Computing |
서버에 응용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저장해 두고 필요할 때마다 접속해서 쓰는 방식으로 모든 작업을 서버가 처리 |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비스 제공자의 가상화된 서버를 이용하고, SBC는 특정 기업내 서버를 활용한다는 차원에서 구분되나, 서버 기반의 컴퓨팅이 발전하면서 그 구반이 모호해 짐 |
Network Computing | 서버 기반의 컴퓨팅처럼 응용 소프트 웨어를 서버에 두지만, 작동은 이용자 컴퓨터의 자원을 이용해 수행하는 방식 |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용자 컴퓨터가 아니라 클라우드 상의 IT 자원을 이용하는 방식 |

AWS가 처음 나올때 아마존에서 장비 사용율을 보니 5%로도 안됨 그래서 서버를 빌려주기 시작하면서 나옴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 Cloud Computing as Utility Computing
@유틸리티 컴퓨팅에서 유래
@ 기본 운영방식
- 가상화로 구성되어 있다. <서버 가상화, 스토리지 가상화>
- 전기 사용요금과 같이 사용한 만큼 요금을 내라
@ HP, IBM, SUN 등 하드웨어 제조 회사가 유틸리티 컴퓨팅 주도 / 반면 클라우드 컴퓨팅은 AMS,Google, MS 클라우드 밴더라고 부름
@ IaaS 중심의 클라우드 컴퓨팅
- 미래에는 경쟁력이 없다 (가격으로 승부하기 때문)
- 한국적인 클라우드 컴퓨팅은 없다
- 보안 문제와 응답 시간만 같다면 누구나 값 싼 서비스를 선택하게 된다.
@ 항상 Global Computation을 생각하자
--Only Cloud Computing
@ 기업에서 사용하는 컴퓨팅 자원을 표준화 해 그 자원을 가상 환경으로 제공하는 방식
@ Iaas,Paas, SaaS가 기본임
@ 원가가 저렴해야 한다
- 밴더에 독립적이어야 한다
- 표준화가 되어 있어야 한다
@ 자동화가 되어 있어야 함
---Cloud Computing is.
@ IT as a Service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Platform as a Service
- Software as a Service
@ Cloud Computing is not virtualization.
@ Dynamic set of Connected Computers
- Computers are PC, Server, Mainframe, Sensor, Phone...
- Connect is a internet environment
- Dynamic is on-demand or at runtime or near real-time
- Set is cluster. is not grid
@ have to be automated and stardized (자동화 및 표준화!!)

'Network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oud] Telemetry (1) | 2022.12.10 |
---|---|
[Cloud] 도커 기본 명령어 (0) | 2022.12.05 |
[Cloud] 도커란? (0) | 2022.12.05 |
[Cloud] 2. 클라우드 서버 가상화 (Server virtualizations) (1) | 2022.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