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수가 10명 미만인 사업에 고용된 근로자 중 월평균보수가 270만원 미만인신규가입 근로자와 그 사업주
2021년부터는 신규가입자에 대해서만 지원
2. 지원수준 및 지원기간
(지원수준) 신규가입 근로자 및 사업주가 부담하는 고용보험과 국민연금 보험료의 80%
* 고용보험의 경우 근로자는 월 최대 16,560원, 그 사업주는 월 최대 21,160원까지 지원하며, 국민연금의 경우 근로자와 그 사업주는 각각 월 최대 82,800원까지 지원
(지원기간) 2018년 1월 1일부터 신규가입자 및 기가입자 지원을 합산하여 36개월까지만 지원
3. 지원 제외대상
지원 대상에 해당하는 근로자가 아래의 어느 하나라도 해당되는 경우에는 지원 제외됩니다.
지원신청일이 속한 보험연도의 전년도 재산의 과세표준액 합계가6억원 이상인 자
지원신청일이 속한 보험연도의 전년도(소득자료 입수 시기에 따라 보험연도의 전년도 또는 전전년도) 종합소득이4,300만원 이상인 자
4. 보험료 지원방법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을 신청하면 사업주가 월별보험료를 법정기한 내에 납부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완납한 경우 그 다음 달 보험료에서 해당 월의 보험료 지원금을 뺀 나머지 금액을 고지하는 방법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만, 그 다음 달에 부과될 보험료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월의 지원금은 지원하지 않음)
두루누리 사회보험료의 경우 지원신청일이 속한 달의 고용보험료부터 해당 보험연도 말까지 지원하되, 보험연도 말 현재 고용보험료 지원을 받고 있고 그 보험연도 중 보험료 지원기간의 월평균 근로자인 피보험자 수가 10명 미만인 경우에는 다음 보험연도에 별도로 신청하지 않더라도 계속 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고용보험료의 경우 사업주가 보수총액신고 또는 피보험자격 취득신고를 법정기한 내에 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신고를 이행한 날이 속한 달의 고용보험료부터 지원하고, 지원대상이 되는 근로자인 피보험자가 일용근로자인 경우에는 사업주가 법정기한 내에 제출한 달의 '근로내용 확인신고서'에 기재된 사람에 대한 월별보험료만을 지원합니다.
5. 지원금액 산정 예시
사업주지원금(신규가입자의 경우)
근로자 수 10명 미만인 사업에 고용된 근로자의 월평균보수가 230만원이라면 매월 103,960원을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80% 지원)
근로자지원금(신규가입자의 경우)
근로자 수 10명 미만인 사업에 고용된 근로자의 월평균보수가 230만원이라면 매월 99,360원을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80% 지원)
참고사항
근로자 수가 ‘10명 미만인 사업’이란?
지원신청일이 속한 보험연도의 전년도에 근로자인 피보험자 수가 월평균 10명 미만이고, 지원신청일이 속한 달의 말일을 기준으로 10명 미만인 사업
지원신청일이 속한 보험연도의 전년도 근로자인 피보험자 수가 월평균 10명 이상이나 지원 신청일이 속한 달의 직전 3개월 동안 (지원신청일이 속한 연도로 한정함) 근로자인 피보험자 수가 연속하여 10명 미만인 사업
지원신청일이 속한 보험연도 중에 보험관계가 성립된 사업으로 지원신청일이 속한 달의 직전 3개월 동안(지원신청일이 속한 연도로 한정하며, 보험관계성립일 이후 3개월이 지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기간 동안) 근로자인 피보험자 수가 연속하여 10명 미만인 사업
* 근로자 수 산정 시 출산전후휴가, 유산ㆍ사산 휴가, 육아휴직 또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에 해당하는 근로자는 제외하고 산정함
* 법인은 법인등록번호, 개인은 사업자등록번호 단위로 사업 규모를 판단함
*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공공기관은 10명 미만인 사업에 해당하여도 지원대상에서 제외함
- 리눅스 초기에 사용되던 시스템 - 호환성 없음 - EXT2의 원형 - 2GB의 데이터와 파일명 255자까지 지정 가능
EXT2
- 고용량 디스크 사용을 염두하고 설계된 파일 시스템 - 호환과 업그레이드가 쉬움 - 4TB 파일 크기까지 지원 - 설정 방법) mke2fs - t ext2
EXT3
- 리눅스의 대표적인 저널링을 지원하도록 확장된 파일 시스템 - ACL (Access Control List)를 통한 접근 제어 지원 - 16TB의 파일 크기까지 지원 - 설정 방법 1)mke2fs -j - 설정 방법 2)mke2fs -t ext3
EXT4
- 파일에 디스크 할당 시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블록을 할당 - 64비트 기억 공간 제한을 없앰 - 16TB 파일 크기까지 지원 - 설정 방법 1)mke2fs -t ext4
3. 저널링 파일 시스템 (JFS, XFS, ReiserFS, EXT3)
파일 시스템
설명
JFS
- Journaling File System의 약자 - IBM사의 독자적인 저널링 파일 시스템 - GPL로 공개하여 현재 리눅스용으로 개발
XFS
- eXetended File System의 약자 - 고성능 저널링 시스템 (SGI 제작) - 64bit 주소 지원 및 확장성 있는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사용 - 데이터 읽기/쓰기 트랜잭션으로 성능 저하를 최소화 - 64bit 파일 시스템으로 8EB까지의 대용량 파일도 다룰 수 있음
ReiserFS
- 독일의 한스 라이저가 개발한 파일 시스템 - 모든 파일 객체들을 B트리에 저장, 간결한 색인화된 디렉터리 지원
4.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
설명
SMB
- Server Message Block - 옵션) smbfs - 삼바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지정 - 윈도우 계열 OS 환경에서 사용되는 파일/프린터 공유 프로토콜 - 리눅스, 유닉스 계절 OS와 윈도우 OS와의 자료 및 하드웨어 공유 (다른 OS와 자료 및 HW 공유 용이)
CIFS
- Common Internet File System - SMB를 확장한 파일 시스템 - SMB를 기초로 응용하여 라우터를 뛰어넘어 연결할 수 있는 프로토콜
NFS
- Network File System - 옵션) nfs - 동일 OS간 RPC를 기반으로 파일 공유시 사용 권장 - 파일 공유 및 파일 서버로 사용하고, 공유된 영역을 마운트할 때 지정 - HW, OS 또는 네트워크 구조가 달라도 공유 가능 - NFS 서버의 특정 디렉터리를 마운트하여 사용 가능
EXT4
- 파일에 디스크 할당 시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블록을 할당 - 64비트 기억 공간 제한을 없앰 - 16TB 파일 크기까지 지원 - 설정 방법 1) mke2fs-t ext4
5. 기타 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
설명
FAT
- Windows NT가 지원하는 파일 시스템 중 가장 간단한 시스텥ㅁ - 옵션) vfat - FAT로 포맷된 디스크는 클러스터 단위로 할당하며, 클러스터 크기는 볼륨 크기에 따라 결정 - 읽기 전용, 숨김, 시스템 및 보관 파일 특성만 지원 - 삼바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지정
VFAT
- Virtual FAT - FAT 파일 시스템이 확장된 것으로 FAT보다 제한이 적음 - 파일 이름도 최고 255자까지 만들 수 있음 (= EXT) - 공백이나 여러 개의 구두점도 포함
FAT32
- SMB를 확장한 파일 시스템 - 다중 부팅 가능 - 파일 크기 최대 4GB, 파티션 크기 최대 32GB
NTFS
-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 - 옵션) ntfs - 안정성이 뛰어나고 대용량 파일도 저장 - 파일 크기 및 볼륨은 이론상 최대 16EB이지만, 실질적으로 2TB가 한계
ISO 9660
- CD-ROM의 표준 파일 시스템 - 옵션) loop - 1988년에 재정된 표준
UDF
- Universal Disk Format의 약자로 최신 파일 시스템 형식 - 광학 매체용 파일 시스템 표준 - ISO 9660 파일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대부분 DVD에서 사용
HPFS
OS/2 운영체제를 위해 만들어진 파일 시스템
6. 관련 명령어
mount & umount
:mount [option] [device] [directory]
: 마운트는 특정 디바이스를 특정 디렉터리처럼 사용하기 위해 장치와 디렉터리를 연결
: 리눅스는 PnP (Plug and Play)를 지원하지만, 지원하는 HW가 많지 않으므로 시스템 부팅 후 수동으로 마운트한 뒤 사용을 끝낸 뒤에는 직접 언마운트 시켜야 함
: /etc/mtab에 현재 마운트된 블록 시스템 정보 표시
: 옵션 정보
-a: /etc/fstab에 명시된 파일 시스템 마운트 시 사용
-t 타입명: 파일 시스템 유형 지정 시 사용
-o 항목명: 추가 설정 및 다수 옵션 지정시 사용 항목명 ro: 읽기 전용 항목명 rw: 읽기 및 쓰기, 기본 지정 항목명 remount: 재마운트 항목명 loop: iso 9660 마운트 시 사용 항목명 noatime: atime 변경 제어로 작업 성능 향상
eject
: 이동식 보조기억장치등과 같은 미디어를 해제하고 장치를 제거하는 명령어
: 이전에 umount (자동) 필수 수행!
fdisk
: 새로운 파티션의 생성, 기존 파티션의 삭제, 파티션의 타입 결정 등의 작업 수행
: 한 번에 한 디스크에 대해서만 작업 수행 : 명령어 저장 위치 /sbin/fdisk: 디스크 파티션에 부여된 UUID 값 확인시 'blkid' 명령어 사용
: 옵션 정보
-l: 현재 디스크 및 파티션 조회
-n: 신규 파티션 추가
-t: 파티션 종류 변경 SWAP - 82, Linux - 83, LVM - 8e, RAID - fd, FAT32 - b
-p: 파티션 테이블로 설정 보기
-m: 메뉴 보기
-a: 부트 가능 플래그로 변경
-d: 뒷번호부터 차례대로 파티션 삭제
-w: 파티션 설정 저장
mkfs
: 리눅스 파일 시스템 생성
: fdisk로 하드디스크 파티션을 나눈 후 해당 파티션에 맞는 파일 시스템 생성
mke2fs
: ext2, ext3, ext4 타입의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
fsck
: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 점검 및 대화식으로 복구
: 결함이 있는 파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토리 /etc/lost+found를 사용하여 점검 및 복구
(tar 옵션: z) gzip ↔ gunzip: 가장 많이 사용. LZ77 알고리즘. 허프만 부호화 (-l 정보, -v 과정, -d 압축해제) -
(tar 옵션: j) bzip2 ↔ bunzip2: 가장 많이 사용. 블록정렬 알고리즘. 허프만 부호화
( tar 옵션: J)xz ↔ unxz: 가장 압축률이 높음
명령어 및 옵션
tar명령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압축명으로 압축 및 압축 해제 가능
-c: tar로 파일 묶기(압축)
-x: tar 압축 해제
-p: 파일 권한 저장
-v: 과정 출력
-f: 파일 이름 지정
-r: 마지막 추가
-t: 목록 나열
-C: 경로 지정
-z: gzip 압축/해제
-j: bzip2 압축/해제
-J: xz 압축/해제
cvf 기본적으로 압축한다고 생각하면 됨
xvf 기본적으로 압축 풀기
tvf 기본적으로 아카이브 내용 확인이라고 생각하면 됨
z : gz 파일관련
j : bz2 파일관련
* 은 항상 뒤에 붙는다 생각!! "*" : 모든을 뜻함
2. 소스 코드 설치
[방법 1] configure → make (makefile) → make install
환경설정(configure): /configure 프로그램 설치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환경파일makefile생성 ☞ 환경설정 파일의 역할: 어떤 프로그램을 컴파일하고 링크해야하는가를 make에게 설명해주는 역할 ☞ make clean: configure로 생성된 다양한 파일 제거
컴파일(make makefile): make makefile을 기반으로 소스파일을 컴파일하여,설치 파일(set up)생성 ☞ make dep: 컴파일 전 의존성 검사
파일 설치(make install):make install로 컴파일 된 실행파일을 지정된 속성으로 지정된 디렉터리에 설치
: 아카이브는 다수 개의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하나의 파일로 묶는 것
: 아카이브 파일은 다른 시스템으로 다수 개의 파일을 한 번에 전송하거나 파일 백업용으로 사용
[방법 2]cmake→ make install
: cmake는 별도의 make 과정 없이 OS에 알맞는 makefile을 생성해줌으로써 훨씬 간편!
# 개념과 특징 - 리눅스 환경의 각종 애플리케이션과 유틸리티에 대해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한다.
참고] 원래 리눅스 환경은 CUI(Command User Interface)
- 플랫폼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그래픽 시스템이다. - x-윈도우는 x11, x, x-windows system이라 부르기도 한다.
- 오픈 데스크톱 환경으로는 KDE, GNOME, XFCE 등이 있다.
- x-윈도우의 특징 1) 네트워크 기반의 그래픽 환경을 제공한다. 2) 이기종 시스템 사이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참고] windows에서도 삼바와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x-윈도우 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3) 스크롤바, 아이콘, 색상 등 그래픽 환경 자원들이 특정 형태로 정의되어 있지 않다.(표준화된 x-windows는 없음) 4)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적이지 않으며 원하는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다.
- x-윈도우는 네트워크 프로토콜(x프로토콜) 기반의클라이언트/서버시스템이다. > 서버 프로그램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작동한다.
(두 개의 개별 소프트웨어 부분에 의해 제어)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어 관련 접근 허용, 클라이언트 간의 자원 공유,
네트워크 메시지 전달, 클라이언트와 입출력 기기의 중계를 담당한다. >클라이언트는 애플리케이션으로 x 서버가 제공하는 기능들을 이용한다.
# 구성요소와 종류 1.XProtocol:
-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통신되는 Request, Reply, Event, Error의 기본 메시지이다.
-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받게 해주는 프로토콜
- 메시지 교환방법 규정, 메시지 타입 규정 등 메시지 제어
2.Xlib:
-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이다.
- C나 리스프(LISP) 언어로 만들어짐
- 윈도우 생성, 이벤트 처리, 창 조회, 키보드 처리 등의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3.XCB:
-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이다.
- Xlib에서 XCB로 대체되어 현재는 XCB를 사용한다.
- Xlib에서 지원하는 것을 모두XCB에서 지원한다.
-Xlib에 비해향상된 쓰레드 기능을 가지며, 확장성이 좋다. 4.Xtookit:
-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이다.
- 고급레벨의 GUI 이용 가능하다. (위젯, GUI 구성하는 객체를 만들 수 있음) 5.XFree86:
- X 윈도우 시스템의 구현체
- 인텔 x86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서버 프로그램
- 무료로 사용 가능
- 다양한 환경 설정이 필요함(->xf86config에서 설정) 6.XF86Config:
- XFree86의 환경설정을 담당(설정 파일)
- 폰트,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비디오 카드, 색상 등을 설정
-'/etc/X11' or '/usr/X11R6/lib/X11'에서 볼 수 있다.
-XF86Config는 세부적으로 세 개의 환경설정 파일로 나누어짐 1) Xconfigurator 2) XF86Config 3) XF86setup
참고]
xlib, xcb(저수준 라이브러리) -> GTK+, QT, FLTK, XFome 등의 라이브러리가 있다. Xtoolkit(고수준 라이브러리) -> XView, Xaw, Motif, XtIntrinsics 등의 라이브러리가 있다.
(2) X-윈도우 설정과 실행
# 파일 /etc/inittab
- init 프로세스가 읽는 파일로, init 프로세스가 무엇을 해야할 것인가를 설정한다. - 리눅스 사용 환경을 초기화한다. - 형식)이름 : 런레벨 : 옵션 : process -옵션
ex> id:3:initdefault: ->디폴트 런레벨을 3으로 지정 (initdefault 키워드 뒤에는 process 필드가 무시된다.)
런레벨
설명
0
hal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1
Single user mode
2
Multiuser, without NFS (The same as 3, if you do not have networking)
3
Full multiuser mode (CUI로 부팅)
4
unused
5
X11( x 윈도우로 부팅)
6
reboo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 X-윈도우 실행
- 그래픽 환경이 아닌 터미널 윈도우로 로그인한 경우에는 몇 개의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한다. - 터미널 윈도우의 명령어 프롬프트상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실행시켜야 한다. - 형식)startx -- [인자값]
(일반적으로 화면이 하나가 나오는데 인자값을 입력하면 여러 개의 X-윈도우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 명령어 startx는 X윈도우를 실행하는 스크립트로 시스템 환경을 초기화하고 xint(프로세스)를 호출한다. - 명령어 startx 실행 시 인자값(argument)을 xinit에 전달하는 옵션은 '--'이다
-> 터미널 모드로 사용하다가 GUI로 변경하려면 startx -- 명령어를 사용
# 환경변수 DISPLAY (x윈도우 관련 환경변수)
- 환경 변수는 프로세스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주는 동적인 값이다. - 셀에서 정의되고 실행하는 동안 프로그램에 필요한 변수이다. - 환경변수 DISPLAY는 현재 x윈도우 display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 형식)export DISPLAY=IP주소:디스플레이번호.스크린번호(x윈도우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가능)
(3) 윈도우 매니저와 데스크톱 환경
가장 핵심은 데스크톱 매니저이다. * 데스크톱 매니저 기반으로 윈도우 매니저, 디스플레이 매니저 활성화되어 사용
# 윈도우 매니저
- 윈도우 매니저는 X-windows상에서 창(window)외 배치와 표현을 담당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이다. - 창 열기와 닫기, 창의 생성 위치, 창의 크기 조정, 창의 외향과 테두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 라이브러리는 Xlib와 XCB를 사용한다. -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윈도우 매니저들은 다양하다. - 윈도우 매니저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fvwm, twm, windowMaker, AfterStep 등이 있다.
# 데스크톱 환경(Desktop Environment 또는 Desktop Manager)
- GUI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스타일로 데스크톱 관리자라고도 한다. - 윈도우 매니저, 파일 관리자, 도움말, 제어판 등 다양한 도구를 제공하는 패키지 형태의 프로그램이다. - 아이콘, 창, 도구 모음, 폴더, 배경화면, 데스크톱 위젯도 제공한다. -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과 프로세스 간의 통보 가능을 지원한다. - 대표적인 데스크톱 환경에는 KDE, GNOME, LXDE, xfce 등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KDE, GNOME)
- 데스크톱 환경에 따라 아이콘, 창, 도구모음, 폴더 등이 다르게 지원
QT라이브러리는 KDE 환경에서 사용. GTK+는 GNOME 환경에서 사용.
# 디스플레이 매니저
- X window system상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이다.
(데스크톱 환경을 설치하면 데스크톱 환경이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매니저가 있다)
- 1988년 XTIR3에서 xdm 디스플레이 매니저가 도입되었다. - 1989년 XTIR4에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xdmcp(X Display Manager Control Protocol)가 도입되었다. - 디스플레이 매니저 종류들로는 XDM, GDM, KDM, dtlogin 등이 있다. - 로컬 또는 리모트 컴퓨터의 X server의 접속과 세션 시작을 담당한다. - 사용자에게 그래픽 로그인 화면을 띄워주고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인증을 진행한다.
-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세션을 시작한다.
참고]
XDM : 초창기 사용했으며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KDM : KDE 데스크톱 환경에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매니저이다.
GDM : GNOME 데스크톱 환경에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매니저이다. /
GNOME 그래픽 로그인 프로그램을 담당한다. /
gtk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구현되고 있다. /
gnu, gpl기반의 라이센스를 따르고 있다. /
(1) 원격지에서 X 클라이언트 이용
- (원격지에 있는 서버를 접속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들이 이용하는 명령어 : xhost, xauth가 있다.) - (접속을 위해서 인증 필요)
xhost : ip주소기반 xhost + : 모든 호스트 허용 xhost - : 모든 호스트 거부 xhost : 현재 상태 확인 xauth : 인증키 기반 서버에서 인증키 생성 -> 클라이언트 보냄 -> 홈디렉터리에 저장
# xhost:
-IP나 도메인명을 이용해서 서버 접속 요청 - 명령어 xhost는 X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를 지정하거나 해제한다. - x 서버에게 디스플레이를 요청 시 해당 요청에 대한 허용 거부를 호스트 단위로 제어한다. - 형식)xhost [+][-] [ip|도메인명]
(특정 IP를 기재하지 않으면 모든 호스트 접속 허용/금지)
- 환경변수 DISPLAY로 x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표시되는 클라이언트 주소를 지정한다.
# xauth :
- xauth는 .Xauthority 파일의 쿠키 내용을 추가, 삭제, 리스트를 출력하는 유틸리티이다.
(.Xauthority 파일에는mit magic cookie1값을 가지고 있고 이 값을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하고, 인증된 사용자만 x 서버의 서비스를 클라이언트가 받을 수 있다.)
-쿠키 값(키) 기반의 인증으로 인증 절차가 xhost보다 강화된 방법 - xhost가 호스트 기반 인증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유틸릴티라면, xauth는 MMC방식(사용자 인증 기반)의 인증 방식을 사용하기 위한 필수 유틸리티이다. - 원격지에서 접속하는 x 클라이언트를 허가할 때 IP 주소나 호스트명이 아닌 x-윈도우 실행 시에 생성되는 키 값으로 인증할 때 사용한다. - 사용자 인증 기반을 지원하기 위해 각 사용자에게 네트워크화된 홈 디렉터리에 파일 $HOME/.Xauthority에 대해 읽기 및 쓰기 권한이 있어햐 한다. - 형식)xauth [옵션]
(2) X윈도우 응용프로그램
응용프로그램
설명
오피스
LibreOffice
오피스 프로그램 패키지
Gedit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
Kwrite
KDE기반의 텍스트 편집기
그래픽
GIMP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ImageMegick
이미지를 생성 및 편집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Eog
GNOME의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Kolourpaint
Ubuntu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Gthumb
GNOME데스트콥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Gwenview
KDE의 기본 이미지 뷰어
멀티미디어
Totem
GNOME기반의 사운드 및 비디오 재생 프로그램
RHYTHMBOX
통합형 음악 관리 프로그램
CHEESE
GNOME기반의 카메라 동영상 프로그램
개발
ECLIPSE
통합 개발 환경으로 자바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를 지원
기타
Colphin
KDE용 파일 관리자
KSnapshot
스크린샷 프로그램
인터넷 활용 (1) WWW(World Wide Web) 서비스 (웹 서비스)
- 프로토콜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를 기반으로 한 멀티미디어와 하이퍼텍스트를 통합한 정보 검색 시스템
- 인터넷에 연결된 전 세계 컴퓨터의 모든 문서들을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컴퓨터 환경에서 검색이 가능하게 해줌
- 다양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
- 분산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함(1대의 서버에 여러 대의 클라이언트가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음)
- 1989년 CERN(유럽입자 물리학 연구소)에서 하이퍼텍스트가 시작되었으며,
1990년 WWW라는 넥스트 플랫폼용 브라우저가 공개됨
- 표준 웹 프로토콜(HTTP, XML, SOAP, WSDL, UDDI)을 기본으로 하여
서로 다른 개발 환경과 운영체제에서도 상호 통신이 가능
- 다양한 웹 브라우저들이 있음
(2) 메일 서비스
- 전자 메일 시스템은 컴퓨터 사용자끼리 편지를 주고받는 서비스
- MTA(메일 서버에 메일을 전달), MUA(메일을 작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MDA(수신자 메일 박스에 메일 전달)로 구성
- 메일 클라이언트에서 송신은 SMTP(메일발송/서버간 메일교환),
수신은 POP3 or IMAP4(메일 서버에 도착한 메일을 사용자 컴퓨터에서 확인) 를 이용
-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은 멀티미디어 전자우편을 위한 표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ASCll 형식으로 변환할 필요 없이 인터넷 전자 우편으로 송신하기 위한 SMTP의 확장 규격
(메일 송신 프로토콜)
(3) FTP 서비스(파일전송 프로토콜)
- FTP(File Transfer Protocol) TCP/IP에 의해 제공되는 호스트 간의 파일 복사를 위한 프로토콜
- 통신 모드 : 패시브 모드(passive mode: FTP 서버가 지정한 포트로 클라이언트가 트래픽 송수신) /